대학 소식

대치720이 제공하는 최신 입시 분석  자료입니다.

대학 소식

대치720이 제공하는 최신 입시 분석 자료입니다.

23학년도 '수시 6회 제한 미적용' 이공계특성화대학 확정일정 (220526)

관리자
2023-01-26
조회수 416


2023학년도 ‘수시6회제한 미적용’ 이공계특성화대학 확정일정

 

이공계특성화대학은 일반대학과 달리 ‘수시 6회 제한’에 적용되지 않는다. 수시 지원 6장의 카드를 사용하지 않고도 추가적인 지원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수시에서는 ‘보너스 카드’로 여겨진다. 정시에서 일반대학으로 가/나/다군에 모두 지원한 학생도 이공계특성화대학에 추가로 지원할 수 있고, 다른 대학 수시 모집에서 합격한 학생도 정시 지원이 가능하다. ‘수시 납치’를 피하는 유용한 통로일 수 있다는 의미다. 반대로 이공계특성화대학 수시에 합격한 경우에도 일반대학 정시에 지원할 수 있다. 다만 포스텍은 이공계특성화대학으로 분류되지만 과기원이 아닌 일반대학에 속해 수시 6회 제한이 적용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이공계특성화대학은 KAIST 제외, 원서접수 일정을 모두 9월13일부터 17일까지로 통일했다. KAIST만 16일까지로 하루 빨리 마감한다. 이처럼 대학 간 일정을 비슷하게 운영하는 경우가 많아 수시 지원 시 전형에서 겹치는 일정을 유의해야 한다.

 

이공계특성화대학 6개교의 2023학년 원서접수 일정은 KAIST를 제외하고 모두 9월13일부터 17일까지로 동일하다. KAIST만 16일까지로 하루 빨리 마감하는 차이다.

 

KAIST의 경우 서류 제출과 교사추천서 입력은 9월13일부터 19일까지 가능하다. 1단계 합격자는 11월18일 오전10시에 발표한다. 면접은 일반전형과 이 외 전형으로 나뉜다. 일반전형은 11월30일, 학교장추천 고른기회 특기자 전형은 12월1일 실시한다. 최종 합격자는 12월15일 오전10시에 발표한다.

 

포스텍은 원서와 함께 자소서를 받지만 자소서의 경우 9월18일까지 수정할 수 있다. 원서 내용과 전형변경 등 수정은 불가능하다. 1단계 합격자는 11월11일 발표하며 면접은 19일부터 20일 사이에 실시한다. 최초 합격자는 12월9일에 발표하고, 추가 합격자는 20일부터 26일 중 발표한다.

 

지스트는 서류를 9월13일부터 19일까지 접수한다. 서류전형 합격자는 10월20일 발표하며 면접은 26일부터 28일 중 실시한다. 최초 합격자 및 예비 합격자는 12월9일에 발표하며 추가 합격자는 20일부터 26일 중 발표한다.

 

DGIST는 면접대상자인 1단계 합격자를 10월21일 발표한다. 면접은 11월2일부터 4일 중 실시하며 합격자는 11월25일 발표한다. 추가 합격자는 12월26일까지 발표할 예정이다.

 

UNIST는 자소서와 기타입증자료의 경우 9월13일부터 18일까지 제출과 수정이 가능하다. 증빙자료는 19일까지 등기우편이나 공문으로 제출해야 한다. 1단계 합격자 발표와 면접은 특기자전형에만 해당한다.

 

한국에너지공대(KENTECH)는 자소서 입력과 서류 제출을 9월13일부터 19일까지 받는다. 1단계 합격자는 11월18일 발표하며 면접은 12월5일에 한다. 합격자는 12월15일에 발표한다.

 

6개 이공계특성화대가 최근 공개한 2023모집요강을 보면, 수시/정시 합산 모집인원은 2095명 내외(이하 모집인원 내외 명)다. 수시 모집인원은 정원내 인원(1905명)과 올해부터 모집하는 반도체계약학과 인원(135명)을 합한 규모로 2040명(97.4%)이다. 정시 모집인원은 55명(2.6%)이다. 수시만 살펴보면 지난해 수시 1888명에서 올해 정원외 반도체계약학과 135명과 정원내 17명이 늘어 총 152명 늘었다. KAIST가 수시에서 7명 확대했으며, 지스트가 수시에서 10명 확대하고 정시에서 10명 축소하면서 수시 모집의 문을 넓혔다. 정원외 반도체계약학과는 수시로 KAIST에서 95명, 포스텍에서 40명을 모집한다.

 

2022학년 수시 경쟁률을 살펴보면 이공특 6개교의 최종 경쟁률은 정원내 9.09대1(모집 1888명/지원 1만7169명)이다. 2021학년의 7.87대1(1805명/1만4203명)보다 대폭 상승했다. 당해 신설한 한국에너지공대(KENTECH)를 제외하고 이공특 5개교의 경쟁률은 2016학년 7.94대1(1706명/1만3546명)에서 2017학년 9.13대1(1726명/1만5759명)로 급등했지만, 2018학년 8.75대1(1760명/1만5407명), 2019학년 8.71대1(1760명/1만5325명), 2020학년 8.23대1(1763명/1만4508명), 2021학년 7.87대1(1805명/1만4203명)로 최근 4년간 하락세를 이어오다 2022학년에 다시 상승했다. 최고 경쟁률은 한국에너지공대(KENTECH)가 기록했다. 24.07대1(90명/2166명)의 경쟁률로 전체 경쟁률 상승을 견인했다. 이어 UNIST 12.27대1(390명/4786명), 지스트 11.38대1(180명/2048명), DGIST 11.25대1(210명/2363명), 포스텍 7.07대1(320명/2261명), KAIST 5.08대1(698명/3545명) 순이다. 지스트를 제외한 UNIST DGIST 포스텍 KAIST의 4개교 모두 전년보다 경쟁률이 상승했다.



대학

/구분

원서

접수

서류제출

1단계 합격자

발표

면접

최종

합격자 발표

추가합격자 발표

KAIST

9.13- 16

자소서

9.13-16

서류/교사추천서

9.13 - 19

11.18

일반 11.30
학교장추천
/고른기회/특기자
12.1

12.15

필요 시 발표

/추후공지

POSTECH

9.13- 17

자소서

9.13-16

11.11

12.9

12.9

12.20 - 26

GIST

9.13- 17

서류/자소서/

교사추천서

9.13 - 19

10.20

12.9

12.9

12.20- 26

DGIST

9.13 - 17

10.21

11.25

11.25

12.26까지

UNIST

9.13- 17

자소서

/기타입증자료

9.13-18

증빙자료

9.13 -18

특기자전형

11.2

12.9 이전

12.9 이전

12.26까지

KENTECH

9.13- 17

서류/자소서

9.13 - 19

11.18

12.15

12.15

1차 12.20

2차 12.22




출처 : 베리타스 알파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