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소식

대치720이 제공하는 최신 입시 분석  자료입니다.

대학 소식

대치720이 제공하는 최신 입시 분석 자료입니다.

23학년도 대입 변화 (220519)

관리자
2023-01-26
조회수 427

인서울 상위권 대학은 정시, 비수도권은 수시 모집 증가


2023학년도 대입 주요 전형 일정


구분

주요 내용

일정

학력평가,

수능 모의평가

3월 학력평가 (서울특별시교육청 주관)

2022. 3. 24

4월 학력평가 (경기도교육청 주관)

4. 13

6월 수능 모의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

6. 9

7월 학력평가 (인천광역시교육청 주관)

7. 6

9월 수능 모의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주관)

9. 1

10월 학력평가 (서울특별시교육 주관)

10. 12

수능시험

 대학수학능력시험일

 2022. 11. 17

 대학수학능력시험 성적 통지일

12. 9

수시 모집

 재외국민과 외국인 전형 원서 접수 기간

 7.  4 ~ 7. 8 또는 

9. 13~ 17

 수시 모집 학생부 작성 기준일

8. 31

 수시 모집 입학원서 접수 기간

9. 13 ~ 9. 17

 수시 모집 전형 기간

 9. 18 ~ 12. 14

 수시 모집 최초 합격자 발표 말일

 12. 15

 수시 모집 등록 기간

 12. 16 ~ 12. 19

 수시 모집 미등록 충원 기간

~ 12. 26

 수시 모집 미등록 충원 등록 마감일

12. 27

정시 모집

 정시 모집 학생부 작성 기준일

 11. 30

 정시 모집 입학원서 접수 기간

        12. 29 ~ 2022. 1. 2

 정시 ‘가’군 모집 전형 기간

2023.  1.  5~ 1. 12

 정시 ‘나’군 모집 전형 기간

1. 13~ 1. 20

 정시 ‘다’군 모집 전형 기간

1. 25 ~ 2.1 

 정시 모집 최초 합격자 발표 말일

 2.  6

 정시 모집 등록 기간

2.  7 ~ 2. 9

 정시 모집 미등록 충원 기간

~ 2. 16

 정시 모집 미등록 충원 등록 마감일

2. 17

추가 모집

 추가 모집 입학원서 접수 및 전형 기간

2. 20 ~ 2. 28

 추가 모집 최초 합격자 발표 말일

2. 28

 추가 모집 등록 기간

 2. 28




2019년 11월 공정안 개선방안으로 주요 16개 대학 정시호가대 권고에 따라 정시 비율이 꾸준한 증가세를 기록해 왔습니다. 특히 지방대의 경우 지역인재 확대로 인하여 학생부 교과전형이 중심인 반면 인서울 상위권 대학을 중심으로 한 정시 선발인원 증가세가 확연했다. 2023학년도에도 역시 이들 대학 대부분이 전체 선발인원의 40% 내외를 정시 수능위주전형으로 선발합니다. 수시 이월과 추가모집까지 고려하면 상위권 대학의 정시 선발인원이 사실상 절반 가까이 되며 의약학 계열의 경우 최저까지 감안한다면 모집이원의 85%정도가 정시에 의존한다고 생각해야 할 것입니다.

 

2022학년도 수시에서는 인서울·수도권 대학 중심으로 학생부교과전형인 학교장추천전형을 신설하고, 학종으로 선발했던 고른기회전형 등을 정시로 돌리는 대학이 많았습니다. 상위권 대학에서 주로 선발해왔던 논술전형 인원이 크게 감소했지만, 2022학년도부터 가천대, 고려대 세종, 수원대가 논술전형을 신설하면서 선발인원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습니다. 그 결과 인서울·수도권 대학은 전체적으로 수시 학종이 축소되고 정시는 확대됐는데, 이 경향은 2023학년도에도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비수도권은 이와 달리 수시 모집인원 증가가 눈에 띈다. 학령인구 감소로 인해 비수도권 대학이 지원자 모집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원활한 신입생 모집을 위해 수시 선발인원을 늘리고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특히 지역인재 모집단위가 40% 가까이 모집하면서 이로한 경향은 확대되고 있는 듯 합니다.

 

전국 4년제 대학의 2023학년도 모집인원은 총 34만9,124명입니다. 2021학년도는 34만7,447명, 2022학년도는 34만6,553명으로, 2022학년도에는 전년보다 894명이 줄었지만 2023학년도에는 오히려 2,571명이 늘었습니다. 이처럼 대학 모집인원이 증가한 것은 감원이 필요한 모집단위의 정원은 줄이지 않은 채로 정원 확대가 필요한 모집단위,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 관련 학과 등 계약학과의 모집인원이 증가하면서 나타난 결과로 보입니다.



■ 2023·2022 4년제 일반대학 대입 전형유형별 모집인원 비교


모집시기

전형유형

모집인원

2023학년도

2022학년도

수시

학생부위주(교과)

154,464(56.7%)

148,506(56.6%)

학생부위주(종합)

81,390(29.9%)

79,503(30.3%)

논술위주

11,016(4.0%)

11,069(4.2%)

실기/실적위주

21,014(7.7%)

18,817(7.2%)

기타

4,558(1.7%)

4,483(1.7%)

수시 소계 

272,442(100.0%)

262,378(100.0%)

정시

수능위주

69,911(91.2%)

75,978(90.3%)

실기/실적위주

6,150(8.0%)

7,470(8.9%)

학생부위주(교과)

252(0.3%)

201(0.2%)

학생부위주(종합)

313(0.4%)

347(0.4%)

기타

56(0.1%)

179(0.2%)

정시 소계 

76,682(100.0%)

84,175(100.0%)

총합계 

349,124

346,553



수시모집에서 전체 모집인원 34만9,124명 중 78.0%인 27만2,442명을 선발, 전년 대비 1만64명이 늘어 2.3% 증가했습니다. 정시 모집인원은 7만6,682명으로, 전년 대비 2.3%인 7,493명이 감소했습니다.


■ 2023·2022 4년제 일반대학 수시·정시 모집인원 증감 비교


학년도

수시

정시

합계

증감

수시

정시

2023

272,442

(78.0%)

76,682

(22.0%)

349,124

(100.0%)

10,064

(2.3%p)

-7,493

(-2.3%p)

2022

262,378

(75.7%)

84,175

(24.3%)

346,553

(100.0%)

-4,996

(-1.3%p)

4,102

(1.3%p)

2021

267,374

(77.0%)

80,073

(23.0%)

347,447

(100.0%)

-1,402

(-0.3%p)

983

(0.3%p)

*단위: 명 *2021.4.26. 기준 *반올림으로 인해 구성비의 증감에 합계 차가 있을 수 있음



수도권 대학은 정시 모집인원이 825명 증가했으며, 비수도권 수시 모집인원은 8,669명을 추가로 선발해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수도권 대학 모집인원은 2023 수시에서 1.395명, 정시에서 825명이 증가했고 모집인원 비율은 전년과 동일한 반면 비수도권의 경우에는 수시에서 3.8%인 8,669명이 증가했으며, 정시에서는 8,318명이 감소했습니다.

 

이처럼 비수도권 대학의 수시 모집인원이 늘고 정시 모집인원이 감소한 것은 학령인구 감소와 수험생의 지방 대학 기피현상이 원인으로 보입니다. 신입생 모집이 원활하지 않은 대학들이 신입생들의 지원이 상대적으로 활발한 수시에서 보다 많은 수를 선발하는 식으로 수시모집에서 돌파구를 찾으려 하기 때문입니다.


■ 2023·2022 수도권·비수도권 대학 수시·정시 모집인원 변화



구분

수시

정시

2023

2022

증감

2023

2022

증감

수도권

85,220

83,825

1,395

46,562

45,737

825

64.7%

64.7%

0.0%p

35.3%

35.3%

0.0%p

비수도권

187,222

178,553

8,669

30,120

38,438

-8,318

86.1%

82.3%

3.8%p

13.9%

17.7%

-3.8%p

합계

272,442

262,378

10,064

76,682

84,175

-7,493

78.0%

75.7%

2.3%p

22.0%

24.3%

-2.3%p


*단위: 명 *2021.4.26. 기준 *반올림으로 인해 구성비의 증감에 합계 차가 있을 수 있음


고른기회특별전형은 농어촌, 장애인, 서해5도, 탈북민, 특성화고졸, 특성화고졸재직자 등 사회배려대상자를 위한 전형으로 대학에 따라서는 별도 전형으로 모집하기도 하고 고른기회전형으로 통합해 모집하기도 합니다. 이와같은 고른기회전형은 매년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정원내 모집인원을 살펴보면 2022학년도 모집인원이 2021학년도에 비해 5,759명 증가했고, 2023학년도에는 2022학년도보다 1,924명이 더 늘었습니다. 정원외에서는 2022학년도 모집인원이 2021학년도에 비해 181명 증가한 반면, 2023학년도에는 2022학년도보다 191명이 줄었습니다. 전체 인원으로 비교하면 2022학년도에는 5,940명이, 2023학년도에는 1,733명이 증가한 것으로, 증가세가 계속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2023·2022·2021 고른기회특별전형 모집인원 변화



구분

2023(A)

2022(B)

2021(C)

2023 증감(D)

2022 증감(E)

정원내

31,027

(8.9%)

29,103

(8.4%)

23,344

(6.7%)

1,924

(0.5%p)

5,759

(1.7%p)

정원외

24,252

(6.9%)

24,443

(7.1%)

24,262

(7.0%)

-191

(-0.1%p)

181

(0.1%p)

합계

55,279

(15.8%)

53,546

(15.5%)

47,606

(13.7%)

1,733

(0.4%p)

5,940

(1.7%p)


*단위: 명 *2021.4.26. 기준 *반올림으로 인해 구성비의 증감에 합계 차가 있을 수 있음



대학에 따라 수능 반영 선택과목이 다르다

2022학년도 수능부터 국어와 수학 영역이 공통+선택 과목 체제로 바뀌었습니다. 국어영역에서는 모든 대학 모집단위가 선택과목 지정 없이 1개 과목을 반영합니다. 하지만 수학영역과 탐구영역은 다릅니다.


■ 2023·2022 선택과목 반영 대학 수 비교


영역

선택과목

2023(A)

2022(B)

증감(C)=(A)-(B)

국어

언어와 매체,

화법과작문 중 선택

183개교

185개교

-2개교

수학

미적분,기하,확률과 통계 중 선택

175개교

177개교

-2개교

미적분,기하 중 선택

58개교

55개교

3개교

확률과 통계 선택

3개교

3개교

-

탐구

탐구영역(사회,과학,직업) 중 선택

104개교

107개교

-3개교

탐구영역(사회,과학)중 선택

96개교